파이썬

CodeKata-3

content0474 2024. 11. 21. 10:56

50.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s의 각 위치마다 자신보다 앞에 나왔으면서, 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같은 글자가 어디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s="banana"라고 할 때,  각 글자들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읽어 나가면서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b는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
  • a는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
  • n은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
  • a는 자신보다 두 칸 앞에 a가 있습니다. 이는 2로 표현합니다.
  • n도 자신보다 두 칸 앞에 n이 있습니다. 이는 2로 표현합니다.
  • a는 자신보다 두 칸, 네 칸 앞에 a가 있습니다. 이 중 가까운 것은 두 칸 앞이고, 이는 2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최종 결과물은 [-1, -1, -1, 2, 2, 2]가 됩니다.

문자열 s이 주어질 때, 위와 같이 정의된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def solution(s):
    letter_dict={}
    result=[]
    for i, letter in enumerate(s):
        if letter in letter_dict.keys(): result.append(i-letter_dict[letter])    
        else: result.append(-1)
        letter_dict[letter]=i
    return result

흐름은 예를 들어 banana라고 하면

문자열 안에 b가 있나?

없다-> result=[]에 -1을 추가하고, letter_dict={'b':0} 이렇게 업데이트

문자열 안에 a가 있나?

없다 -> result=[-1]에 -1을 추가하고, letter_dict={'b':0, 'a':1} 이렇게 업데이트

문자열 안에 n이 있나?

없다 -> result=[-1, -1]에 -1을 추가하고, letter_dict={'b':0, 'a':1, 'n':2} 이렇게 업데이트

문자열 안에 a가 있나?

있다-> result[-1,-1,-1]에 지금a의 인덱스와 이전에 나온 a의 인덱스의 차를 추가하고, letter_dict={ 'b':0, 'a':3, 'n':2 } 이렇게 업데이트

...

이런식으로 업데이트해서 최종적으로 result 리스트를 반환하면 된다.

여기서 주목할것은 딕셔너리의 값을 불러오고 대체하는 방법이다.

쉬운 코드이지만 안쓰면 잊어버리기 때문에 잘 기억해두자

 

#값 불러오기: list[key]

my={'a': 10, 'b': 2}

print(my[a]) -> 10 

print(my[b]) -> 2

 

#값 대체: list[key]=대체값

my[a]=7

print(my) ->  {'a': 7, 'b': 2}

 

 

51. 푸드파이트 대회

수웅이는 매달 주어진 음식을 빨리 먹는 푸드 파이트 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대회에서 선수들은 1대 1로 대결하며, 매 대결마다 음식의 종류와 양이 바뀝니다. 대결은 준비된 음식들을 일렬로 배치한 뒤, 한 선수는 제일 왼쪽에 있는 음식부터 오른쪽으로, 다른 선수는 제일 오른쪽에 있는 음식부터 왼쪽으로 순서대로 먹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앙에는 물을 배치하고, 물을 먼저 먹는 선수가 승리하게 됩니다.

이때, 대회의 공정성을 위해 두 선수가 먹는 음식의 종류와 양이 같아야 하며, 음식을 먹는 순서도 같아야 합니다. 또한, 이번 대회부터는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먼저 먹을 수 있게 배치하여 선수들이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이번 대회를 위해 수웅이는 음식을 주문했는데, 대회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음식을 주문하여 몇 개의 음식은 대회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3가지의 음식이 준비되어 있으며,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1번 음식을 3개, 2번 음식을 4개, 3번 음식을 6개 준비했으며, 물을 편의상 0번 음식이라고 칭한다면, 두 선수는 1번 음식 1개, 2번 음식 2개, 3번 음식 3개씩을 먹게 되므로 음식의 배치는 "1223330333221"이 됩니다. 따라서 1번 음식 1개는 대회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수웅이가 준비한 음식의 양을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나타내는 정수 배열 food가 주어졌을 때, 대회를 위한 음식의 배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51-1. join(reversed())

def solution(food):
    digits=""
    for i, food_amount in enumerate(food):
        digit=str(i)*(food[i]//2)
        digits+=digit
    reversed_digits=''.join(reversed(digits))
    result=digits+'0'+reversed_digits
    return result

로직: 음식수//2 만큼 문자열을 반복해서 0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이 되게 배치함

 

문자열 반복하는법: 문자열*숫자

ex) 'a'*3 -> 'aaa'

문자열 뒤집는법: ' '.join(reversed(문자열))

문자열  합치는법: + 는 숫자 뿐 아니라 문자열도 일렬로 나열해준다.

 

51-2. [::-1]

def solution(food):
    digits=''.join([str(i)*(amount//2) for i, amount in enumerate(food)])
    return digits+'0'+digits[::-1]

로직은 같은데 문자열을 뒤집을 때 [::-1]을 써도 된다.

(이전 코드카타에도 나왔지만) 슬라이싱의 가장 마지막은  스텝(얼마만큼 건너뛸건지)을 의미하며 생략하면 0으로 간주, -1이면 뒤에서부터 가져온다는 뜻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umerate, list comprehension  (1) 2024.12.03
heapq, deque  (0) 2024.12.02
CodeKata-2  (2) 2024.11.15
CodeKata-1  (2) 2024.11.14
WIL(2주차)  (1) 2024.10.11